산후안 (아르헨티나)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산후안은 아르헨티나 서부에 위치한 도시로, 1562년 산후안 강가에 세워졌다. 1944년 지진으로 파괴되었으나 재건되었으며, 현재는 현대적인 도시 경관을 갖추고 있다. 사막 기후를 보이며 와인 생산이 활발하며, 롤러 하키 강국으로 스포츠에서도 두각을 나타낸다. 주요 관광 명소로는 대성당, 5월 25일 공원 등이 있으며, 이시구알라스토 국립 공원과 같은 주변 지역의 관광 자원도 풍부하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아르헨티나의 주도 - 멘도사 (아르헨티나)
멘도사는 아르헨티나 멘도사 주의 주도로, 와인 생산과 관광, 석유 및 우라늄 개발이 활발하며, 1861년 대지진 이후 재건된 현대적인 도시 구조와 꾸요 국립대학교 등의 문화 시설을 갖추고, 포도 수확 축제와 경전철 시스템, 그리고 영화와 비디오 게임을 통해 대중 문화적으로도 알려진 안데스 산맥 기슭의 도시이다. - 아르헨티나의 주도 - 라플라타
라플라타는 페드로 베누아가 설계한 아르헨티나의 계획 도시로, 중앙 공원과 대각선 도로, 프랙탈적 설계를 특징으로 하며, 라틴 아메리카 최초로 전기 가로등이 설치되고 라플라타 대학교가 설립되어 부에노스아이레스주의 주도 역할을 한다. - 아르헨티나의 도시 - 부에노스아이레스
부에노스아이레스는 아르헨티나의 수도이자 자치시로, 16세기 건설과 재건을 거쳐 아르헨티나 독립의 중심지였으며 유럽 이민자 유입으로 남미 최대 도시 중 하나로 성장하여 풍부한 문화와 역사를 자랑한다. - 아르헨티나의 도시 - 멘도사 (아르헨티나)
멘도사는 아르헨티나 멘도사 주의 주도로, 와인 생산과 관광, 석유 및 우라늄 개발이 활발하며, 1861년 대지진 이후 재건된 현대적인 도시 구조와 꾸요 국립대학교 등의 문화 시설을 갖추고, 포도 수확 축제와 경전철 시스템, 그리고 영화와 비디오 게임을 통해 대중 문화적으로도 알려진 안데스 산맥 기슭의 도시이다.
산후안 (아르헨티나) - [지명]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시우다 데 산후안 |
별칭 | 태양의 거주지 |
![]() | |
![]() | |
![]() | |
애칭 | 오아시스 도시 |
지리 | |
좌표 | 남위 31° 32′ 03″, 서경 68° 31′ 34″ |
해발고도 | 650m |
행정 구역 | |
국가 | 아르헨티나 |
주 | 산후안 주 |
도 | 주도 |
군 | 수도 군 |
시장 | Marcelo Lima |
역사 | |
건설 | 1562년 |
창립자 | Juan Jufré |
인구 | |
총 인구 (2010년) | 109,123명 |
인구 밀도 | 3,759.3명/km² |
도시권 인구 | 453,000명 |
데모님 | 산후아니노 |
면적 | |
총 면적 | 30km² |
시간대 | |
시간대 | ART |
UTC 오프셋 | -3 |
식별 번호 | |
우편 번호 | J 5400 |
지역 번호 | +54 264 |
웹사이트 | |
공식 웹사이트 | 산후안 시 공식 웹사이트 |
2. 역사
스페인 정복자들이 도착하기 전에는 이 지역에 와르페 원주민들이 거주했다.
'''산후안 데 라 프론테라'''는 1562년 6월 13일 후안 후프레에 의해 산후안 강/산후안강 (아르헨티나)es가에 세워졌다. 1593년, 홍수가 도시를 덮쳐, 도시는 2.5km 남쪽의 현재 위치로 이전되었다.
산후안은 식민지 시대(1562–1810) 동안 조용하고 지방적인 도시였으며, 아르헨티나를 황폐화시킨 이른바 "조직기"(1820–1860)의 내전에는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1816년 투쿠만 회의에서 아르헨티나의 스페인 독립을 선언한 가장 저명한 두 멤버가 산후안 출신이었다. 회의 의장이었던 프란시스코 나르시소 데 라프리다와 산후안의 주교인 도미니코회 수도사이자 아르헨티나가 브라질과 같은 군주국이 아닌 공화국이 되도록 설득력 있는 웅변을 한 후스토 산타 마리아 데 오로 수사이다.
아마도 가장 중요하고 유명한 도시 출신 인물은 프라이 후스토의 조카이자 1868년부터 1874년까지 아르헨티나 대통령을 지낸 도밍고 파우스티노 사르미엔토였다. 그의 출생지는 대통령 로케 사엔스 페냐 행정부 동안인 1910년에 국립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thumb
1944년 1월 15일, 강력한 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어 약 10,000명이 사망하고 지방 인구의 절반이 집을 잃었다. 또 다른 지진은 리히터 규모 7.4로 1977년 11월 23일 도시에서 북동쪽으로 80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하여 상당한 피해를 입히고 지방에서 65명이 사망했다.
1944년 재해 이후, 도시는 동심원 대로, 곧고 밝으며 나무가 늘어선 가로수길, 현대적인 주택으로 재건되었다. 식민지 시대의 모습은 거의 사라졌지만, 개방적이고 햇볕이 잘 드는 지중해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스페인 정복자들이 도착하기 전에는 이 지역에 와르페 원주민들이 거주했다.산후안 데 라 프론테라는 1562년 6월 13일 후안 후프레에 의해 산후안 강가에 세워졌다. 1593년 홍수로 인해 도시가 피해를 입었고, 이 때문에 현재 위치에서 2.5km 남쪽으로 이전되었다.
산후안은 식민지 시대(1562–1810) 동안 조용하고 지방적인 도시였으며, 아르헨티나를 황폐화시킨 이른바 "조직기"(1820–1860)의 내전에는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1816년 투쿠만 회의에서 아르헨티나의 스페인 독립을 선언한 가장 저명한 두 멤버가 산후안 출신이었다. 회의 의장이었던 프란시스코 나르시소 데 라프리다와 산후안의 주교인 도미니코회 수도사이자 아르헨티나가 브라질과 같은 군주국이 아닌 공화국이 되도록 설득력 있는 웅변을 한 후스토 산타 마리아 데 오로 수사이다.
아마도 가장 중요하고 유명한 도시 출신 인물은 프라이 후스토의 조카이자 1868년부터 1874년까지 아르헨티나 대통령을 지낸 도밍고 파우스티노 사르미엔토였다. 그의 출생지는 아르헨티나 대통령 로케 사엔스 페냐 행정부 동안인 1910년에 국립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2. 2. 식민지 시대와 독립
스페인 정복자들이 도착하기 전, 이 지역에는 와르페 원주민들이 거주했다.'''산후안 데 라 프론테라'''는 1562년 6월 13일 후안 후프레에 의해 산후안 강가에 세워졌다. 1593년 홍수로 도시가 피해를 입자, 현재 위치에서 2.5km 남쪽으로 이전되었다.
산후안은 식민지 시대(1562–1810) 동안 조용하고 지방적인 도시였으며, 아르헨티나를 황폐화시킨 이른바 "조직기"(1820–1860)의 내전에는 거의 참여하지 않았다. 그러나 1816년 투쿠만 회의에서 아르헨티나의 스페인 독립을 선언한 가장 저명한 두 멤버는 산후안 출신이었다. 회의 의장이었던 프란시스코 나르시소 데 라프리다와 산후안의 주교인 도미니코회 수도사이자 아르헨티나가 브라질과 같은 군주국이 아닌 공화국이 되도록 설득력 있는 웅변을 한 후스토 산타 마리아 데 오로 수사이다.
아마도 가장 중요하고 유명한 도시 출신 인물은 프라이 후스토의 조카이자 1868년부터 1874년까지 아르헨티나 대통령을 지낸 도밍고 파우스티노 사르미엔토였다. 그의 출생지는 대통령 로케 사엔스 페냐 행정부 동안인 1910년에 국립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다.
2. 3. 도밍고 파우스티노 사르미엔토
2. 4. 지진과 재건
1944년 1월 15일, 강력한 지진으로 도시가 파괴되어 약 10,000명이 사망하고 지방 인구의 절반이 집을 잃었다. 또 다른 지진은 리히터 규모 7.4로 1977년 11월 23일 도시에서 북동쪽으로 80km 떨어진 곳에서 발생하여 상당한 피해를 입히고 지방에서 65명이 사망했다.1944년 재해 이후, 도시는 동심원 대로, 곧고 밝으며 나무가 늘어선 가로수길, 현대적인 주택으로 재건되었다. 식민지 시대의 모습은 거의 사라졌지만, 개방적이고 햇볕이 잘 드는 지중해적인 모습을 유지하고 있다.
3. 지리 및 기후
산후안은 바위가 많은 산악 지역의 비옥한 계곡에 위치해 있으며,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사막 기후( ''BWh/BWk'')를 보인다.[14][15][16][5][6][7][8][9] 겨울 기온은 온화하여 평균 1°C에서 16°C 사이이지만, -9°C 이하로 떨어질 수도 있다. 여름은 덥고 평균 기온은 19°C에서 35°C 사이이며, 1995년 12월 20일에는 최고 기온 46.7°C를 기록했다.[1] 월 평균 기온의 범위는 19.4 °C이다. 맑은 날씨는 모든 달에 흔하며 산후안은 평균 약 3,361.3시간의 햇빛을 받는다.[2]
산후안 공항, 아르헨티나 (1991–2020, 극값 1961–현재) 기후 데이터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최고 기온 기록 °C (°F) | 45.4 (113.7) | 45.1 (113.2) | 42.1 (107.8) | 39.3 (102.7) | 38.1 (100.6) | 37.6 (99.7) | 36.6 (97.9) | 38.5 (101.3) | 41.8 (107.2) | 42.5 (108.5) | 44.5 (112.1) | 46.7 (116.1) | 46.7 (116.1) |
평균 최고 기온 °C (°F) | 35.1 (95.2) | 33.3 (91.9) | 30.5 (86.9) | 25.3 (77.5) | 20.5 (68.9) | 17.3 (63.1) | 16.7 (62.1) | 20.3 (68.5) | 23.8 (74.8) | 27.9 (82.2) | 31.6 (88.9) | 34.4 (93.9) | 26.4 (79.5) |
일 평균 기온 °C (°F) | 27.3 (81.1) | 25.6 (78.1) | 22.8 (73.0) | 17.3 (63.1) | 12.3 (54.1) | 8.4 (47.1) | 7.5 (45.5) | 10.7 (51.3) | 14.9 (58.8) | 19.6 (67.3) | 23.5 (74.3) | 26.4 (79.5) | 18.0 (64.4) |
평균 최저 기온 °C (°F) | 19.8 (67.6) | 18.4 (65.1) | 16.1 (61.0) | 10.9 (51.6) | 6.0 (42.8) | 1.5 (34.7) | 0.3 (32.5) | 2.7 (36.9) | 6.6 (43.9) | 11.3 (52.3) | 15.0 (59.0) | 18.0 (64.4) | 10.5 (50.9) |
최저 기온 기록 °C (°F) | 7.8 (46.0) | 7.5 (45.5) | 2.5 (36.5) | -1.6 (29.1) | -4.1 (24.6) | -9.2 (15.4) | -9.0 (15.8) | -7.2 (19.0) | -5.1 (22.8) | -0.5 (31.1) | 2.1 (35.8) | 6.5 (43.7) | -9.2 (15.4) |
강수량 mm (inches) | 17.4 (0.69) | 22.5 (0.89) | 10.8 (0.43) | 4.6 (0.18) | 3.4 (0.13) | 1.8 (0.07) | 1.3 (0.05) | 2.6 (0.10) | 3.7 (0.15) | 2.9 (0.11) | 7.2 (0.28) | 12.4 (0.49) | 90.6 (3.57)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3.5 | 2.6 | 2.2 | 1.3 | 1.1 | 0.4 | 0.6 | 0.5 | 1.0 | 1.0 | 1.4 | 2.0 | 17.6 |
평균 강설일수 | 0.0 | 0.0 | 0.0 | 0.0 | 0.0 | 0.1 | 0.3 | 0.2 | 0.1 | 0.0 | 0.0 | 0.0 | 0.5 |
평균 상대 습도 (%) | 43.0 | 46.9 | 52.6 | 57.3 | 62.2 | 60.2 | 55.1 | 45.5 | 40.8 | 38.8 | 38.2 | 38.1 | 48.2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313.1 | 274.0 | 272.8 | 234.0 | 213.9 | 201.0 | 226.3 | 248.0 | 252.0 | 291.4 | 315.0 | 319.3 | 3160.8 |
일조율 | 78 | 78 | 74 | 81 | 71 | 68 | 75 | 74 | 74 | 76 | 79 | 80 | 76 |
이 지역은 강수량이 적어 산후안 강은 도시의 규칙적인 수원 공급을 위해 댐으로 막혔다. 그 결과로 생긴 저수지는 우룸에 위치해 있으며, 우룸 계곡 댐으로 알려져 있다. 이 댐은 이 지역에 전력을 공급한다. 주변 지역의 농업 생산량의 65%는 와인 생산과 관련이 있다.
3. 1. 지리
산후안은 바위가 많은 산악 지역의 비옥한 계곡에 위치해 있다. 겨울 기온은 온화한 편으로 평균 1°C에서 16°C 사이이며, -9°C 이하로 떨어질 수 있다. 여름은 덥고 평균 기온은 19°C에서 35°C 사이이며, 1995년 12월 20일에는 최고 기온 46.7°C를 기록했다.[1] 월 평균 기온 범위는 19.4°C로, 남아메리카 전체에서 가장 높을 가능성이 있다. 맑은 날씨는 연중 흔하며, 평균 약 3,361.3시간, 즉 가능한 햇빛의 약 76%를 받는다.[2] 6월의 68%에서 5월의 81%까지 가능하다.[3][4]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산후안은 사막 기후 (''BWh/BWk'')를 보인다.산후안 공항, 아르헨티나 (1991–2020, 극값 1961–현재) 기후 데이터 | |||||||||||||
---|---|---|---|---|---|---|---|---|---|---|---|---|---|
월 | 1월 | 2월 | 3월 | 4월 | 5월 | 6월 | 7월 | 8월 | 9월 | 10월 | 11월 | 12월 | 연간 |
최고 기온 기록 °C (°F) | 45.4 (113.7) | 45.1 (113.2) | 42.1 (107.8) | 39.3 (102.7) | 38.1 (100.6) | 37.6 (99.7) | 36.6 (97.9) | 38.5 (101.3) | 41.8 (107.2) | 42.5 (108.5) | 44.5 (112.1) | 46.7 (116.1) | 46.7 (116.1) |
평균 최고 기온 °C (°F) | 35.1 (95.2) | 33.3 (91.9) | 30.5 (86.9) | 25.3 (77.5) | 20.5 (68.9) | 17.3 (63.1) | 16.7 (62.1) | 20.3 (68.5) | 23.8 (74.8) | 27.9 (82.2) | 31.6 (88.9) | 34.4 (93.9) | 26.4 (79.5) |
일 평균 기온 °C (°F) | 27.3 (81.1) | 25.6 (78.1) | 22.8 (73.0) | 17.3 (63.1) | 12.3 (54.1) | 8.4 (47.1) | 7.5 (45.5) | 10.7 (51.3) | 14.9 (58.8) | 19.6 (67.3) | 23.5 (74.3) | 26.4 (79.5) | 18.0 (64.4) |
평균 최저 기온 °C (°F) | 19.8 (67.6) | 18.4 (65.1) | 16.1 (61.0) | 10.9 (51.6) | 6.0 (42.8) | 1.5 (34.7) | 0.3 (32.5) | 2.7 (36.9) | 6.6 (43.9) | 11.3 (52.3) | 15.0 (59.0) | 18.0 (64.4) | 10.5 (50.9) |
최저 기온 기록 °C (°F) | 7.8 (46.0) | 7.5 (45.5) | 2.5 (36.5) | -1.6 (29.1) | -4.1 (24.6) | -9.2 (15.4) | -9.0 (15.8) | -7.2 (19.0) | -5.1 (22.8) | -0.5 (31.1) | 2.1 (35.8) | 6.5 (43.7) | -9.2 (15.4) |
강수량 mm (inches) | 17.4 (0.69) | 22.5 (0.89) | 10.8 (0.43) | 4.6 (0.18) | 3.4 (0.13) | 1.8 (0.07) | 1.3 (0.05) | 2.6 (0.10) | 3.7 (0.15) | 2.9 (0.11) | 7.2 (0.28) | 12.4 (0.49) | 90.6 (3.57) |
평균 강수일수 (≥ 0.1 mm) | 3.5 | 2.6 | 2.2 | 1.3 | 1.1 | 0.4 | 0.6 | 0.5 | 1.0 | 1.0 | 1.4 | 2.0 | 17.6 |
평균 강설일수 | 0.0 | 0.0 | 0.0 | 0.0 | 0.0 | 0.1 | 0.3 | 0.2 | 0.1 | 0.0 | 0.0 | 0.0 | 0.5 |
평균 상대 습도 (%) | 43.0 | 46.9 | 52.6 | 57.3 | 62.2 | 60.2 | 55.1 | 45.5 | 40.8 | 38.8 | 38.2 | 38.1 | 48.2 |
평균 월간 일조시간 | 313.1 | 274.0 | 272.8 | 234.0 | 213.9 | 201.0 | 226.3 | 248.0 | 252.0 | 291.4 | 315.0 | 319.3 | 3160.8 |
일조율 | 78 | 78 | 74 | 81 | 71 | 68 | 75 | 74 | 74 | 76 | 79 | 80 | 76 |
이 지역은 강수량이 적어 산후안 강을 댐으로 막아 우룸에 우룸 계곡 댐이라는 저수지를 만들었다. 이 댐은 지역에 규칙적인 수원을 공급하고 전력을 제공한다.
주변 지역 농업 생산량의 65%는 와인 생산과 관련이 있다.
3. 2. 기후
산후안은 바위가 많은 산악 지역의 비옥한 계곡에 위치해 있으며, 쾨펜 기후 구분에 따르면 사막 기후(''BWh/BWk'')를 보인다.[14][15][16][5][6][7][8][9] 겨울 기온은 온화하여 평균 1°C에서 16°C 사이이지만, -9°C 이하로 떨어질 수도 있다. 여름은 덥고 평균 기온은 19°C에서 35°C 사이이며, 1995년 12월 20일에는 최고 기온 46.7°C를 기록했다.[1] 월 평균 기온의 범위는 19.4 °C이다. 맑은 날씨는 모든 달에 흔하며 산후안은 평균 약 3,361.3시간의 햇빛을 받는다.[2]이 지역에는 비가 거의 내리지 않기 때문에 산후안 강은 도시의 규칙적인 수원 공급을 위해 댐으로 막혔다. 그 결과로 생긴 저수지는 우룸에 위치해 있으며, 우룸 계곡 댐으로 알려져 있다. 이 댐은 이 지역에 전력을 공급한다. 주변 지역의 농업 생산량의 65%는 와인 생산과 관련이 있다.
4. 도시 경관
산후안은 1944년 지진 이후 식민지 시대의 모습에서 벗어나 현대적인 도시로 변모했다. 잘 정비된 넓은 포장 도로, 타일 또는 모자이크로 된 넓은 보도, 아카시아, 뽕나무, 낙원수 등으로 이루어진 가로수가 특징이며, 아름다운 운하를 통해 관개 시설이 갖춰져 있다.
도시는 라스 에라스 대로, 5월 25일 대로, 7월 9일 대로, 기예르모 라우손 대로가 격자 무늬 형태로 계획된 수도 지구 내에 위치한다. 이 네 개의 대로가 폭 16블록(동서 방향)과 길이 10블록(남북 방향)의 직사각형을 형성하며, 이 직사각형의 중심부는 레안드로 N. 알렘, 코르도바, 리베르타도르 산 마르틴, 리오하 대로로 구분되는 길이 7블록, 폭 6블록의 광장이다. 이 지역은 도시의 중심지이자 인구 밀도가 가장 높고 상업, 금융 및 기관 활동이 집중된 곳이다.
주요 수직 도로는 미트레 거리(영화관과 사이버 카페로 유명), 호세 이그나시오 데 라 로자 거리(1944년 지진 이후 건설), 상업 지구인 산타페 대로, 리바다비아 거리(동쪽 두 블록이 보행자 전용), 산 마르틴 대로(대 산후안으로 가는 대부분의 접근로)이다. 주요 평행 도로는 멘도사 대로(빌라 크라우스로 연결), 마리아노 아차 장군 대로, 리오하 대로이다.
도시의 주요 랜드마크는 다음과 같다:
- '''대성당''': 건축가 다니엘 라모스 코레아가 설계했으며, 1979년 12월 16일에 완공되었다. 종탑은 높이 51m이며, 영국식 시계와 15분마다 소리가 나는 독일식 카리용이 특징이다. 내부는 파엔차, 이탈리아에서 제작된 청동 현관을 통해 접근할 수 있으며, 리마의 성 로사, 프랑스의 성 루이, 사도 산티아고, 성 안나, 여러 방패와 문장이 부조로 새겨져 있다. 교회 지하에는 지하 묘지, 주교의 묘소, 후스토 산타 마리아 데 오로 수사의 예배당이 있다.
- '''5월 25일 공원''': 도시의 주요 도시 공원으로, 다채로운 식물이 있는 녹지 공간을 제공한다. 도밍고 사르미엔토 대통령과 후스토 산타 마리아 데 오로 수사의 19세기 기념물, 1871년에 만들어진 중앙 분수가 있다.
- '''아베라스테인 공원''': 전 주지사의 이름을 따서 명명되었으며, 안토니오 아베라스테인 주지사의 기념물이 있다.
- '''투쿠만 및 리바다비아 보행자 거리''': 도시에서 가장 중요한 보행자 전용 거리로, 잘 조경된 환경과 다양한 소매점이 있어 현지인과 관광객 모두에게 인기가 높다.
- '''5월 공원''': 1810년 5월 혁명을 기념하여 명명되었으며, 어린이 구역, 섬이 있는 인공 호수, 물고기 및 조류, 벨로드롬, 호세 데 산 마르틴 장군, 페데리코 칸토니 주지사, 스포츠에 대한 수많은 조각상과 기념물이 있다.
5. 주요 관광 명소
산후안의 주요 관광 명소로는 18세기에 지어진 옛 예수회 양식의 대성당이 있다. 이 대성당은 1944년 지진으로 파괴되었지만, 현대적인 토스카나식로마네스크 건축 건물로 재건되었으며 종탑이 있다. 산후안은 로마 가톨릭 대주교 관할 구역이며, 가톨릭 대학교가 있다. 후안 빅토리아 강당은 아르헨티나에서 가장 현대적이고 활발한 콘서트홀 중 하나이며, 거대한 인공 호수가 있는 마요 공원을 포함한 많은 녹지 공원과 광장이 있다. 2016년 10월에는 산후안 시내에 1129명의 관람객을 수용할 수 있는 비센테나리오 극장이 문을 열었다.
관광은 와인 생산 및 와인 시음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이시구알라스토 국립 공원 (달의 계곡 포함)과 같은 지역의 암석 지형이 관광객을 이끈다. 이시구알라스토 국립 공원은 도시에서 북쪽으로 330km 떨어져 있으며, 우욤 댐은 도시에서 18km 떨어져 있다. 이 지역의 중요한 매력은 세계 최대 규모로 추정되는 트라이아스기 시대의 화석 기록이다. 도시 중심에서 약 25km 떨어진 알바르돈 지역의 라 라하에는 마리아노 갬비에르 고고학 박물관이 있는데, 기원전 시대부터 1560년 스페인인들의 도착까지 산후안에 거주했던 많은 문화와 관련된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이 도시에서는 2월에 5일 동안 자연을 기념하는 축제인 피에스타 나시오날 델 솔을 개최한다.
주요 박물관은 다음과 같다.
- 도밍고 파우스티노 사르미엔토 생가: 1910년 국립 역사 기념물로 지정되었으며, 도밍고 사르미엔토가 태어나 자란 곳이다.
- 산 마르틴의 수도원: 호세 데 산 마르틴이 1815년 혁명 전쟁 지원을 위해 방문했을 때 머물렀던 곳으로, 당시의 소박한 가구를 그대로 보존하고 있다.
- 프랭클린 로슨 미술관/아구스틴 녜코 역사 박물관: 국내 예술가들의 회화, 조각, 판화, 드로잉 유산을 소장하고 있으며, 18세기와 19세기의 패션 관련 요소, 크리올 은세공품, 역사적 화폐 및 우표 컬렉션을 전시한다.
- 아미드 리드 박물관/카를로스 가르델 탱고의 집: 아르헨티나 탱고의 발달 과정을 보여주는 전시물과 비디오를 제공하며, 컨퍼런스, 토론, 바이올린 및 반도네온 수업이 진행된다.
- 자연 과학 박물관: 이전 철도역에 있으며, 주로 인근 이시구알라스토 계곡에서 발견된 공룡 화석 컬렉션으로 유명하다.
6. 교통
산후안은 현대적인 교통 기반 시설을 갖추고 있으며, 순환 도로와 남부 접근 고속도로 등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도시의 외형적 성장은 두 번째 순환 도로의 필요성을 야기했으며, 이 프로젝트는 건설 중에 있다. 이 고속도로는 대산후안에서 시내까지의 통근 시간을 단축하고, 대형 화물 트럭의 교통을 용이하게 할 것이다 (도시 중심부에서 우회). 또한 산후안 시내와 라우손 및 기타 남부 교외 지역을 연결하는 남부 회랑이라는 또 다른 고속도로를 위한 보완 프로젝트도 필요하다.
산후안 시의 도시 대중 교통 승객은 숫자와 문자로 표시된 버스 노선(19 또는 26A)으로 구성되며, 시내 중심부와 다양한 지역 및 대산후안의 나머지 지역을 연결한다. 이 도시에는 택시 서비스와 레미세(승합 택시)도 있다.
도시의 급속한 성장은 새로운 교통 수단의 필요성을 야기했으며, 최근에는 시내와 대산후안 사이의 트롤리 서비스 개발에 대한 타당성 조사가 의뢰되었다. 제안된 노선은 킴바스-산후안(센터)-빌라 크라우스와 리바다비아-산후안(센터)-산타 루시아를 연결하고, 시내를 순환하는 노선도 있다.
장거리 대중 교통은 현대적인 버스 터미널에서 제공되며, 6,000제곱미터(64,000평방 피트) 이상의 플랫폼 면적을 가지고 있다. 터미널에는 행정 사무소, 매표소, 정보, 경찰서, 응급 처치실, 전화 부스, 상점, 레스토랑 및 기타 시설도 포함되어 있다.
도밍고 파우스티노 사르미엔토 공항은 9 데 훌리오 주에 위치한 라스 차크리타스 마을에서 시내에서 15km 떨어져 있다. 이 공항은 산후안에서 부에노스아이레스까지의 노선을 운행한다.
이 도시는 국도 40호에 위치해 있으며, 남쪽으로는 멘도사(168 km), 북쪽으로는 라 리오하(449 km)와 연결되어 있다. 국도 20호는 산후안을 산루이스(동쪽으로 323 km)와 연결한다. 다른 주요 도시까지의 거리는 다음과 같다: 코르도바(585 km), 카타마르카(623 km) 및 부에노스아이레스(1110 km).
7. 와인 산업
산후안은 아르헨티나에서 두 번째로 큰 와인 생산 지역이다. 해발 601m에서 1,399m 사이의 고도에서 116,700에이커의 경작지를 가지고 있다. 이 지역은 시라, 말벡, 카베르네 소비뇽, 본아르다, 샤르도네 및 토론테스 품종을 전문적으로 생산한다.[10]
이 지역은 반사막 기후이기 때문에 포도 재배는 산후안강과 하찰강의 관개에 의존한다.[11]
8. 스포츠
산후안은 롤러 하키의 강국으로 국제적으로 명성이 높으며, 아르헨티나 롤러 하키 국가대표팀 (남녀 모두)의 선수 대부분을 배출하고 있다. 이곳에서 롤러 하키 월드컵이 6번 개최되었다.
산후안은 또한 2022년 월드 스케이트 게임, 2002년 FIVB 남자 배구 세계 선수권 대회, 2014년 국제 식스 데이 엔듀로, 2017년 ICF 카누 프리스타일 세계 선수권 대회의 개최지이기도 했다.
9. 자매 도시
산후안은 다음과 같은 도시들과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0. 유명 인물
- 후안 파블로 조프레는 반도네온 연주자, 작곡가이자 편곡가로 산후안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이후 뉴욕으로 이주했다.[12]
- 세사르 가리페(1981년 출생)는 아르헨티나의 전직 프로 축구 선수이다.
- 헨리 마틴(1965년 출생)은 레이싱 드라이버이다.
- 텔마 레카(1904년 – 1979년)는 아동 및 청소년 심리학 및 정신 의학 분야의 선구자로 산후안에서 태어났다.
- 리카르도 수니노(1949년 출생)는 레이싱 드라이버이다.
참조
[1]
웹사이트
San Juan, San Jaun
http://www.ora.gov.a[...]
Oficina de Riesgo Agropecuario
2015-04-14
[2]
웹사이트
Datos bioclimáticos de 173 localidades argentinas–Anuales
http://www.arquinsta[...]
Universidad Nacional de La Plata
2015-06-15
[3]
웹사이트
Datos bioclimáticos de 173 localidades argentinas–Mayo
http://www.arquinsta[...]
Universidad Nacional de La Plata
2015-06-15
[4]
웹사이트
Datos bioclimáticos de 173 localidades argentinas–Junio
http://www.arquinsta[...]
Universidad Nacional de La Plata
2015-06-15
[5]
웹사이트
Estadísticas Climatológicas Normales - período 1991-2020
https://ssl.smn.gob.[...]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23-04-11
[6]
웹사이트
Estadísticas Climatológicas Normales – período 1991–2020
http://repositorio.s[...]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23-08-01
[7]
웹사이트
Estadística climatológica de la República Argentina Período 1991-2000
http://sedici.unlp.e[...]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23-05-23
[8]
웹사이트
Clima en la Argentina: Guia Climática por San Juan Aero
https://www.smn.gob.[...]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23-04-06
[9]
웹사이트
Datos bioclimáticos de 173 localidades argentinas
http://www.arquinsta[...]
Universidad Nacional de La Plata
2015-06-15
[10]
웹사이트
Argentina - Wines Of Argentina
http://www.winesofar[...]
2018-04-06
[11]
웹사이트
Wine-Searcher. Human race only please ...
http://www.wine-sear[...]
2018-04-06
[12]
뉴스
Taking a 'Poor Man's Church Organ' to Heavenly Heights
https://www.nytimes.[...]
New York Times
2013-06-23
[13]
웹사이트
city population
https://www.citypopu[...]
2023-05-17
[14]
웹인용
Estadísticas Climatológicas Normales - período 1981-2010
https://ssl.smn.gob.[...]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18-01-20
[15]
웹인용
Clima en la Argentina: Guia Climática por San Juan Aero
https://www2.smn.gob[...]
Servicio Meteorológico Nacional
2017-10-05
[16]
웹인용
Datos bioclimáticos de 173 localidades argentinas
http://www.arquinsta[...]
Universidad Nacional de La Plata
2015-06-15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